사업계획
∘ (사업명) BRC(Busan Regional Consotium) 수요 맞춤형 우수 인재 양성 사업
∘ (목적) 부산시 소재 주요 대학들이 지자체와 지역이전 공공기관 및 지역 내 유관기관 그리고 산업체와 연계하여, 지역우수인재를 공동으로 양성하고, 지역 내 네트워크를 구축․활용하여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및 인재양성 여건 조성
∘ (대상) 부산시 소재 대학(학과), 혁신도시 이전 공공기관, 부산시 산하 공사․공단 및 출자․출연기관, 부산시 소재 산업체
∘ (추진기간) 2019.7.1. ~ 2024.2.29.
∘ 사업 추진단계별 전략
- 사업기간을 두 단계(1~2차년도+3~5차년도)로 구분하고, 각 단계별 지향점 및 성과목표 제시
- (1단계: 지역협력네트워크 구축기) 지자체-공공기관-대학-산업체 간 지속가능한 연계협력 네트워크 및 인재육성 프로그램 활성화 기반 조성
- (2단계: 지역생태계 조성기) 지역협력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여 본격적으로 다양한 인재육성 교육프로그램 시행 및 산업지향적 인재활용 활성화 도모
∘ 사업 구성
- 총 3대 영역, 9개 사업으로 구성(※ 부산시 예산지원 세부프로그램 포함)
영역별 사업 및 프로그램 구성 총괄표
영역 |
구분 |
사업명 |
프로그램 구성 |
비고 |
|
① 컨소시엄 협력체계 구축‧운영 |
협력체계 |
1. 지역인재양성 협력네트워크 구축 |
1-① |
혁신인재양성 연구회 |
|
1-② |
사업추진위원회 및 실무추진위원회 운영 |
|
|||
1-③ |
플래그십(Flagship) 교육환경 확충 및 개선 |
|
|||
2. 성과분석 및 환류·확산 시스템 구축 |
2-① |
자체평가위원회 구성 및 운영 |
|
||
2-② |
지역인재 수급 실태조사 |
市예산 지원 |
|||
2-③ |
참여기관 및 학생 수요․만족도 조사 |
|
|||
학생지원 |
3. 지역우수인재 양성 지원 |
3-① |
CC(Challenge Contest) Play Project |
市예산 지원 |
|
② 핵심역량기반 융합창의교육 |
교과과정 |
4. 지역수요 맞춤형 융합전공 개설 |
4-① |
대학 간 공동교과목 개발 및 운영 |
|
4-② |
트랙별 융합전공 개발 및 운영 |
|
|||
비교과과정 |
5. 전공역량 강화교육 |
5-① |
전공기반 기초역량강화 교육과정 |
|
|
5-② |
전공심화 콜로키움 |
|
|||
6. 지역특화 핵심역량 강화교육 |
6-① |
부산 창의인재 아카데미 |
|
||
6-② |
지역특화산업 발전로드맵 프로젝트 |
|
|||
6-③ |
전문가 초청 특강 |
|
|||
6-④ |
산업체 및 공공기관 연계 멘토링 |
|
|||
③ 수요자 맞춤형 특화인재 실무교육 |
팀프로젝트 |
7. PDCA 창의융합동아리 |
7-① |
(P)해커톤 경진대회 |
PDCA* 기반 순차적 운영․지원 |
7-② |
(D)창의융합동아리 지원 |
||||
7-③ |
(C)창의프로젝트 경진대회 |
||||
7-④ |
(A)Tech & Pick 창업스쿨 |
||||
취업교육 |
8. 지역특화(BRC) 프로그램 |
8-① |
BRC Pre-Start 진로캠프 |
2학년 과정 |
|
8-② |
BRC 자율설계 취업동아리 |
3~4학년 과정 |
|||
8-③ |
BRC 산학연 합동채용설명회 |
|
|||
8-④ |
NCS 심화교육 집중과정 |
|
|||
현장실무 프로그램 |
9. 산업현장 연계 실무형 인턴십 |
9-① |
찾아가는 지역특화 우수기업 및 공공기관 현장견학 |
|
|
9-② |
공공기관 연계 오픈캠퍼스 |
市예산 지원 |
|||
9-③ |
공공기관 연계형 인턴십 |
市예산 지원 |
|||
9-④ |
지역특화 패키지형 인턴십 |
|
|||
9-⑤ |
지역소재 해외기관 단기 실무 인턴십 |
|
|||
9-⑥ |
전략산업 경영실무 아카데미 |
|
* P(Plan), D(Do), C(Check), A(Action)의 약자로 목표달성을 위한 관리주기별 성과관리법